목차
리츠(REITs)를 공부하다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주제가 있습니다.
바로 세금과 배당입니다.
배당은 리츠의 가장 큰 매력이고, 세금은 실제 손에 쥐는 수익과 직결되기 때문에 투자 전에 꼭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.
리츠는 임대료, 매각 차익, 개발 수익 등에서 나온 이익을 투자자에게 나누어 주는 구조입니다.
일반 기업은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만 배당하지만, 리츠는 법적으로 이익의 90% 이상을 배당해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즉, 투자자는 리츠를 통해 꾸준히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죠.
세금은 “내가 어느 나라 리츠에 투자했는가”에 따라 달라집니다.
이때 많은 분들이 걱정하는 것이 “이중과세”인데요, 실제로는 한국 세법상 외국납부세액공제 제도가 있어, 미국에서 이미 낸 세금은 한국 세금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다만 공제액 산정은 신고 과정에서 꼼꼼히 챙겨야 하며, 만약 금융소득이 연 2천만 원을 넘으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.
리츠 투자에서 배당은 분명 매력적인 요소지만, 세금까지 고려해야 손에 남는 진짜 수익을 알 수 있습니다.
특히 해외 리츠의 경우 환율과 세금을 동시에 따져봐야 하므로, 단순히 배당률 숫자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됩니다.
더 깊이 비교하고 싶다면 ‘한국 리츠 vs 미국 리츠, 어디가 더 유리할까?’도 함께 참고해 보세요.
투자는 언제나 개인의 상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니, 충분히 공부하고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.